PRODUCT NAME | 울금 추출물 |
---|---|
Turmeric extract | |
COMMON NAMES | 울금, 강황, 심황, 튜메릭 |
Turmeric, Indian saffron | |
INCI NAME | Curcuma longa (Turmeric) root extract |
PART USED | Root |
DESCRIPTION | 원산지는 인도, 중국, 오카니와 등인데, 인도를 중심으로 한 열대 및 아열대지방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다. 약간 흙냄새가 있는 후춧가루와 향이 비슷하고 연한 쓴맛이 난다. 또한 노란색의 착색성이 있어서 오래전부터 음식이나 옷감의 착색료로 많이 사용되었다. 카레가 노란색인 것은 울금에 함유된 주성분인 커큐민이라는 화합물이다. 울금은 기원전 600년경부터 기록되어 있는 [앗시리아 식물지] 중에 착색성의 물질로 기재되어 있고, 인도, 동남아, 중국에서는 옛날부터 견, 면늬 염색과 식품의 착색에 이용하여 왔다. 염료로 사용할 경우 홍색염색을 위한 하염으로 치자 대신 사용하기도 한다. 중국 약초서의 고전 이시진의 "본초강목"에 울금과 관련해 "피를 멈추게 하고 나쁜 피를 제거함. 혈임,요혈,금창을 치료함" 이라고 기술했다. 인도 카레에는 반드시 다른 향신료와 함께 울금을 배합하여 넣고 있다. 이것을 상식하는 사람은 간장이 건강하다고 알려져 있는데, 쿠르쿠민이 간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 외에 이뇨, 이담효과와 간장의 해독기능을 촉진시키는 작용도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일본에서는 단무지의 착색에 울금 색소를 이용하고 있다. 울금은 혈액순환을 돕는 약재중 하나로서 울금은 혈에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기를 잘 통하게 하는 효능이 있어서 간과 담에 기가 막힌 증상을 치료하고 혈분에 들어가 혈분의 열을 내리고 어혈을 풀어주는 역할까지 하기 때문에 혈중의 기약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기혈이 뭉쳐서 생긴 모든 증상을 치료하고, 어혈등 각 종 출혈증에 사용한다. 이와 더불어 황달을 치료하는데도 이용되며 피오줌과 가슴이 아픈 증상에도 응용된다. 또한 소화를 촉진시키며, 당뇨병이나 피부질환을 예방하여 한방에서 많이 이용되어왔다. |
REFERENCES | |
ACTIVITIES | Antioxidant, Anti-inflammation, Enhancing blood circulation |
MAIN CHEMICALS | 1,8-cineole, Ascorbic-acid, Beta-carotene, Caffeic-acid, Curcumin, Glucose, Guaiacol, Niacin, P-coumaric-acid |
APPLICATION | Skin care |
USAGE LEVEL | 2~4 |
SPECIFICATION | ▪ Description : Light brown liquid ▪ Odour : Typical ▪ Refractive index(20℃) : 1.350 ~ 1.390 ▪ pH : 5.0 ~ 7.0 ▪ Specific Gravity(d20/20) : 0.990 ~ 1.030 ▪ Identification : 1) Triterpenoid - Reddish brown 2) Saccharide - Reddish purple 3) Saponin - Reddish brown ▪ Heavy Metals : ≤ 10 ppm ▪ Arsenic : ≤ 2 ppm ▪ Microbes : ≤ 100 cfu/㎖ ▪ Preservative : Phenonip 0.4% |